2010년 12월 25일 토요일

WALKING ON THE ROAD IN THE LATE ULAANBAATAR

 

IT WAS CHRSITMAS.

As many business company use this day to their sales, In Ulaanbaatar(UB), also smells same, little bit.

on thesedays, we can see much more drunken people, than usual winter days.

Monglian people are drinking in this season named many щинэ-жил(new-year) party.

 

Last night about 10p.m. I’d walked from Sukhbaatar area(the center of Ulaanbaatar) to the north, about 20-30minutes.

It was the first time walking outside in the late night time.

 

There are still many lights, but darkness is the majority on the street.

and cars are passing away fastly, only 1~2 people are in my sight.

 

I saw a woman throwing her vodka up along the pavement.

She was already well-done, so I couldn’t ignore it – she was well-exposed of damn cold weather about -20~-30℃, and dangerous people.

3-4minutes later, standing and gazing her, I felt I also was exposed too. so I kept walking again.

walking again.

 

All the time I walked, I couldn’t be relaxed because of the coldness and some ‘darkness’-this part is not from my feeling or sense, from the true or false (fucked-up) stories from many people’s saying.

 

As a result, I felt the part of the late ulaanbaatar is not totally shit. But, yes, truely cold, and, I got some feeling of hold-up men, desiring money or food – to survive.

Naver 태그:

2010년 12월 19일 일요일

0, about the story FINALLY REACHED THIS PLACE, FROM -1

고린도전서 13장
(1 Corinthians chapter 13 / 1 Corinthiens  chapitre 13)

내가 사람의 방언과 천사의 말을 할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소리나는 구리와 울리는 꽹과리가 되고

Though I speak with the tongues of men and of angels, and have not charity, I am become as sounding brass, or a tinkling cymbal.

내가 예언하는 능이 있어 모든 비밀과 모든 지식을 알고 또 산을 옮길 만한 모든 믿음이 있을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가 아무 것도 아니요

And though I have the gift of prophecy, and understand all mysteries, and all knowledge; and though I have all faith, so that I could remove mountains, and have not charity, I am nothing.

내가 내게 있는 모든 것으로 구제하고 또 내 몸을 불사르게 내어 줄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게 아무 유익이 없느니라

And though I bestow all my goods to feed the poor, and though I give my body to be burned, and have not charity, it profiteth me nothing.

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온유하며, 투기하는 자가 되지 아니하며, 사랑은 자랑하지 아니하며, 교만하지 아니하며

Charity suffereth long, and is kind; charity envieth not; charity vaunteth not itself, is not puffed up,

무례히 행치 아니하며, 자기의 유익을 구치 아니하며, 성내지 아니하며, 악한 것을 생각지 아니하며
Doth not behave itself unseemly, seeketh not her own, is not easily provoked, thinketh no evil;

불의를 기뻐하지 아니하며, 진리와 함께 기뻐하고

Rejoiceth not in iniquity, but rejoiceth in the truth;

모든 것을 참으며,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바라며, 모든 것을 견디느니라 !

Beareth all things, believeth all things, hopeth all things, endureth all things.

DSCN6627

사랑은 언제까지든지 떨어지지 아니하나 예언도 폐하고 방언도 그치고 지식도 폐하리라

Charity never faileth: but whether there be prophecies, they shall fail; whether there be tongues, they shall cease; whether there be knowledge, it shall vanish away.

우리가 부분적으로 알고 부분적으로 예언하니

For we know in part, and we prophesy in part.

온전한 것이 올 때에는 부분적으로 하던 것이 폐하리라

But when that which is perfect is come, then that which is in part shall be done away.

내가 어렸을 때에는 말하는 것이 어린 아이와 같고 깨닫는 것이 어린 아이와 같고 생각하는 것이 어린 아이와 같다가 장성한 사람이 되어서는 어린 아이의 일을 버렸노라

When I was a child, I spake as a child, I understood as a child, I thought as a child: but when I became a man, I put away childish things.

우리가 이제는 거울로 보는 것같이 희미하나 그 때에는 얼굴과 얼굴을 대하여 볼 것이요 이제는 내가 부분적으로 아나 그 때에는 주께서 나를 아신 것같이 내가 온전히 알리라

For now we see through a glass, darkly; but then face to face: now I know in part; but then shall I know even as also I am known.

그런즉 믿음, 소망, 사랑, 이 세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에 제일은 사랑이라.

And now abideth faith, hope, charity, these three; but the greatest of these is charity.

2010년 12월 18일 토요일

몽골 타임지 기사 일부 발췌 및 번역

[ТОЙМ 2010.11.22 – 11.28 ] – TIME誌

<ХӨРЩ> 이웃소식

МОНГОЛ ХААНА БАЙНА ВЭ? 몽골은 어디에 있는가?

Дэлхийн газрын зураг дээр Монгол улсыг Хятадтай нийдүүлсэн зураг мэр сэр интернет сайт дээр үзэгддэг. Ийм зургийг албан ёсоор Тайваньд хэвлэж гаргадаг байсан бөгөөд үүний щалтгаан нь түүхийн нэлээд урт, ээдрээт учир холбогдолтой. Тиймээс альболох товч өгүүлэхийг хичээе.

세계지도에 몽골과 중국을 합친 것이 인터넷 상에 돌아다니는 것을 종종 본다. 이러한 지도를 법적으로 평화로운 인쇄해 내고 있었다는 것과 그러한 구실이 역사적으로 상당히 긴, 혼란스러운 이유가 연관이 있다. 그러한 가능한 한 짧은 이야기를 서술하고자 한다.

Даяарщлын эринд ардчилсан нийгэм, өндөр хөгжилтэй Тайвань нь Монголын талаарх байр сууриа эргэн харах нь зүйтэй гэж үзээд, дэлийн 100 гаруй улстай дипломат харилцаатай НҮБ(Нэгдсэн Үндэстний Байгууллага)-ын бүрэн эрхт гищүүн Монгол Улсыг хүлээн зөвщөөрөхгүй байх нь Тайваний хувьд олон улсын хамтын нийгэмлэгтэй хөл нийлүүлээгүй хэрэг болох тул 2002 онд албан ёсоор Монгол Улсын тусгаар тогтнолыг хүлээн зөвщөөрч, “Дундад Иргэн улс”-ын газарын зургаас “Гадаад Монгол”-ыг хасаж, монголчуудыг “Эх газрын иргэн” гэсэн ойлголтоос халсан байдаг.

다야르샬 시기에 민주적인 사회는, 크게 발전했다. 평화로운 몽골에 대하여 (국가의) 지위는 주변과 관계를 정확하게 하는 것이라고 보고, 세계 100 여 개국과의 외교 관계를 가진 국제연합의 완전한 자격이 있는 회원국이다.

몽골을 국가로 승낙하지 않을 것 같은 ???????에 세계 공동 사회를 가진 소란에 합쳐지지 않기 위해 2002년에 법적으로 몽골국의 독립적인 승인을 받고, “중간 시민 국가”의 지위에서 “외 몽골”로 빠져 나와, 몽골사람들을 “조국의 국민” 이라고 하는 관념으로 바뀌게 되었다.

 

---------------------------------------------------------------------------------------------------------------------------------------------------

 モンゴルは歴史的に約200年間中国に支配され、今日も、経済的に「かなり」中国に依存している(たとえば、輸出の場合、対中国輸出は総輸出の73%(2009年度基準)に至る)。モンゴル人に「中国嫌いか」という質問をすると、かなり多くの場合、すぐ「そう!」と反応する姿も伺えるのだ。(この「嫌中流」は、最近浮上している民族主義にも拡張して論ずることもできるだろう。)
몽골은 역사적으로 약 200년 간 중국에 지배당했고, 오늘 날에도 경제적으로 굉장히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예를 들면 수출은, 대 중국 수출액이 전체의 73%(2009년도 기준)에 육박한다). 몽골 사람에게 ‘중국이 싫냐’ 고 질문하면 대부분의 경우, 바로 ‘그렇다!’ 라고 반응하는 걸 볼 수 있다. (이 ‘혐중’ 감정은, 최근 부상하고 있는 민족주의에도 확장시켜 이야기 할 수도 있겠다.)

 私の見解ではこのTIME誌のような(割と?)メジャーな雑誌に上記のような記事が載るということだけでも、中国をどれだけ懸念しているかが感じられた。確かに人口が100万という単位しかならない国としては、中国を隣にしているだけで多大な危機感を感じかねない。しかしモンゴルにとって中国は最大の「お客」でもある。どうすればええねんや、と思うんだが、とりあえず眠いから以上で。
  내 견해로는 이 타임지처럼 비교적 유명한 잡지에 이러한 기사를 싣는다는 것만으로도, 중국에 대해 얼마나 큰 불안감을 갖고 있는 지가 느껴졌다. 하긴 인구가 100만 단위밖에 되지 않는 나라로써는, 중국을 옆에 둔 것만으로 엄청난 위기의식을 느낄 것 같다. 그러나 몽골에 있어서 중국은 최대의 ‘고객’이기도 하다. 이를 어찌 해부러야 하는교… 생각컨데, 음, 일단 졸리니까 자야겠다.

2010년 12월 15일 수요일

僕という社会化された自意識は、ゲバラのような武力闘争を拒否しているかのように見せかけているけど、こんな自分が正しいか否かはとても評価できない。

世の中はとてもつらいものばかりで、そのつらいものから抜け出したいという気持ちに’同感’をしてしまってから6年4ヶ月。

しかし変えてやったことがあるとは思えない。

---------------------------------------------------------------------------------------------------------------------------------------------------

Өнөөдөр би монгол найзтайгаа хамт щинэ гурван газарт очсан.
Today I visited 3 new place with my mongolian friend.

гадаад урт цаг байсан учраас миний бие эрчгүй болсон.
Because being in cold long time, my body lost energy.Одоо өөр юм тэрийг эрчгүй болуулаж байна.
Now, another thing is losing the energy.

---------------------------------------------------------------------------------------------------------------------------------------------------

2010년 12월 14일 화요일

just minite, just minite…

Надад хэдэн үгүүд цээжэгдэж багаа сайн мэдэхгүй харин, миний сэтгэлийг та нарт их их хэлэмээр байна.
I don’t know how many words are memorized in my mind but, my heart wants to talk to you guys so much.

Өнөөдөр би “та нас барсан” гэж сонссохад, миний өмнө бүтнэ сайний жижиг дуусвар харагдсан.
Today, when I heard “you’ve gone”, Sunday’s little end was seen in front of me.

 

반고흐-starrynightэнд одтой хэрцгий хот – here is the starry vicious city.

Өчигдөр би надад ч бас мэдээгүй газар явсан. Тэнд буддааний сүм байдаг байсан.
Yesterday, I went where even I didn’t know. There’s Buhda’s temple.

Мащ их хүйтэн сахил ганцаараа байсан намайг ядралуулаж байсан. харин тэр халуун надад  эрчгүй байсан.
The fucking cold wind was making me, alone, exhausted. But it has no power to me, cuz i was too hot.

Би хурдан надад газарын зурагтай щиг энэ хот мэдмээр байна.
I wanna quickly know this city as if I have a map.

Гурван долоо хоног дараа би ажилах хэрэгтэй, учраас ажил эхлэх өмнө миний нүдийн өмнө улаан мананыг цэвэрлээ.
After 3 weeks I need to work, so I gotta clean the dense smog in front of my eyes before starting work.

хүлээгээрээ, миний 3-р хот.
Wait, my 3rd city.

 

 

<p.s. some pic 4 my studying mongolian>

방향격

2010년 12월 10일 금요일

ONE MONGOLIAN HOME

 

This time I’d like to upload some photos taken in ONE MONGOLIAN HOME where I stayed 1 day.

 

DSCN6604arriving home, a kid stared at me.

DSCN6588Two too qute kids. both of them are really make me smile.

DSCN6590  This girl liked my camera. But I didn’t allow her broke it, haha.

DSCN6603 DSCN6601 DSCN6602

Everyday morning, grandmother do like this (the solid is MILK). This is a kind of wishing to the sky.

DSCN6597 DSCN6594 DSCN6596

 

 

DSCN6607

Table filled with food. I really appreciate their hospitality.

 DSCN6608DSCN6609DSCN6611 

We did take a picture. GerBul!(family)

DSCN6614 the neiborhood. This is the original mongol ger(right side)

 

DSCN6624
the neibor has 3-4 cows.

   DSCN6621
This is the shit of the cows, it can be THE NATURAL FUEL for house-heating.

 

 

I become to like eating the mongolian traditional food.

And it’s also OK sleeping with 6 people in one-room.

I got something feeling so good at this short time.

DSCN6616   
Bayaralaa! (Thanks!)

쉬어가는 코너

울란바토르.

몽골의 수도.

몽골 총 인구 약 260만 명 중, 약 100만 명이 거주.

비교적 거대한 도시. 라는 이미지.

그러나 내수시장이 작다던 지, 구공산권국가였다던 지 정부가 쪼꼼 부패했다던지 하는 자질구레한 이유들이 합쳐져 도시 내부는 허름허름.

 

우리가 서울에서 볼 수 있는 쪼까 삐까번쩍한 빌딩 숲은 10분거리 내에 밀집해 있다고 봄.

 

울란바토르 인구의 60%는 건물 밖에서 거주. (주로 게르, 아니면 집없음)

시골의 척박한 환경을 떠나 수도로 몰리는 사람들이 주로 그 60%에 들어감.

-35도를 육박하는 땅에서 사람들은 지하 하수도에 몸을 숨기기도 함.

(어쩌면 개발도상국 수도라면 전형적일 지도 모르는) 생활형 범죄가 기승하고 있음.

이곳의 외국인/내국인 불문, 구타 후 금품갈취를 당하기도 하고, 아예 납치 당하여 털리기도 함.

 

외국자본(특히 중국자본)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탓에, 외국인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왕왕 있음.

극우민족주의자들-독일의 스킨헤드 같은 사람들- 또한 생겨나고 있음.

 

------------------------------------------------------------------------------------------------------------------------------

이런 전제가 깔려 있기에, 무서운 소문은 끊임없이 매일매일 내 귀에 들어온다.

누군가가 살해당했다. 무참히 폭행당했다.

 

 

 

그러나 진실은 (처음에 보았던 대로) 아직 보이지 않는다.

 

 

 

 

 

 

 

 

 

 

 

.

2010년 12월 9일 목요일

SALLON…!

 

Жөөхөн монгол хэлээр өдрийн тэмдэглэлыг бичнэ.
Little bit I’m going to write diary with mongolian language.

Өнөөдөр бид нар-шинэ Койкагийн гишүүн нар-гуравтай “САЛЛУН”ан тухай ярьсан.
Today, 3 of us-KOICA’s Agents- talked about “Sallon”.

 

어느정도의시국토론이가능했으면좋겠다
<SALLON?>

“САЛЛУН” бид нарын Монгол хүмүүстай хамт их мэдээг заад сурах газар.
”Sallon” is a place where we get many information each other with mongolians.

Би их хүмүүстэй хөгжимын бас Монголын эдийн засгийн тухай маш их ярьмаар байна…
I really want to talk about Music and mongolian economy much…

2010년 12월 7일 화요일

FULL!

 

Today, finally i got cold :)  really really fucking bright sunshine there is, and I could take a long- long sleep in the place.

(sometimes the brake like this makes me filfulled)

 

Today I’d been with ‘something special’ political views, music with my own playing the guitars(till sick with my thumb),  and philosophies.

Here, Ulaanbaatar, is just like seoul and tokyo, in terms of ‘many many sicking people’. Yes, it has typical source to make the residents hollow. (however it is not the meaning that I am feeling like it right now)

Because of the damn money, many people live with compromising everyday.

At least I think so but XXXX, I don’t feel so NOW. (it’s the reason why I am feeling isolated)

Some people could say “you are fucking OK, what the hell are you desiring more, dude?”

 

미켈란젤로-hands(I will answer “love”)

That’s why I came here.

 

To be together, and to love.

 

I’m trying to not to be a snob. These days, I am really facing the real start point of my life.

 

 

Thanks, for being in peace today.

 

p.s. if you know Korean language well, I would you like to read this passionable statement of apealing against the decision below.

유시민 항소이유서: http://blog.daum.net/6-sense-6/13561278

2010년 12월 6일 월요일

나는 약한가, 나는 약하지 않은가, 그것이 고민인가.

 

1.

수단(tool)적인 의미를 가지는 목표를 향해, 전략적 행동을 자주 취해 왔다.

나의 모든 것을 총동원해서.

그런데 오늘 가슴을 내려다 보니, 가슴팍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

(이것은 어쩔 수 없는 것인가 , 그리고 앞으로 어찌 될 것인가)

 

2.

오늘은 시대정신이라는 영화(다큐?)를 보았다.

내가 생각한 이 영화의 요는 ‘현 세계의 구조를 ‘음모론’적 관점에서 바라본 것’이다.

하지만 음모론적인 이 내용이 내게는 크나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은 분명하다.

 

3.

빙판길에 짜장면처럼 자빠진 덕분에 허리가 시큼시큼 아프다.

건강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내가 이 세상에 온 이유에는 어쩌면 물질적인 의미의 건강은 (중요하긴 하지만) 엄청나게 큰 의미를 갖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나는 아직 젊은, 혈기왕성한 녀석이기에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인 지도 모른다)

 

4.

나는 함께 숨쉬고 싶어서 이 세상에 온 것이다. 그리고 또 한가지 원하는 게 있다면 세상의 평화라고 말해야 하나.

DSCN6611

2010년 12월 5일 일요일

별 헤는 밤

 

A.

아스팔트 위를 흰 눈이 먼지처럼 쓸고 지나간다.

차 안 조수석에서 그 광경을 바라보며, 처음 같은 광경을 바라 보았을 때의 경이로움은 벌써 잊은 채,

나는 헤어짐의 아쉬움을 느끼고 만다. 어떻게 보면 그 일을 하지 않았다는 후회를 하고 있다.

---------------------------------------------------------------------------------------------------------------------

B.

별이 저렇게 빛나고 있는 데.

오늘 밤은 울란바토르 외곽에 위치한 집에서 잠을 청하게 되었다.

같은 나이 또래의 (스모 선수 같은) 친구가 양치질하는 나에게 별을 보러 현관 앞에 나가자고 한다.

내복 차림에 두꺼운 잠바 하나만 달랑 싸매고 양치질을 하며 현관문을 연다.

하늘의 별들은 별자리 관련 서적의 그림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 했다.

문득 C와 갔던 이케부쿠로 선샤인 시티에 있는 플라네타리움이 생각났다.

실은 나는 그곳에 가고 싶지 않았다.

오늘과 같은, 하늘에 떠있는 별 그 자체를 보고 싶었기 때문에.

하지만 지금 내 곁에 C는 없고, 별 그 자체가 많이 떠 있다.

-------------------------------------------------------------------------------------------------------------------------

A.

아무리 많은 생각이 스쳐 지나가도,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수많은 생각들을 메모조차 할 수 없으니.

그러나 단 한가지 확실한 것은 나는 객관적 고찰에 대한 강한 필요성을 느끼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

B. (-1 시점)

따뜻한 2층 집 거실에서 편안한 소파에 앉아 큰 액정 텔레비전을 노곤한 자세로 바라본다.

유아들의 배변활동을 서포트하는 기저귀 광고 안에서 마저 나는 어떠한 것을 캐치하고 만다.

 

-------------------------------------------------------------------------------------------------------------------------

C.

何がマフや!おかげで痔になりそうや!

食べたいものは何もない部屋

-------------------------------------------------------------------------------------------------------------------------

D.

“울란바토르는 몽골이 아니며, 몽골은 울란바토르가 아닙니다. 진짜 몽골은 울란바토르 밖에 있습니다.”

라는 어떤 사람의 말을 잊기가 힘들다. 동감이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

D.’(D의 미분, D를 무한정 추상화시킴)

同感.

僕は「同」じことを「感」じるため、いくらか人為的な行動を取ってきたことを、否定したりはしない。

しかし、そう動力してきたことに、なんらか成果があったとは、(実は)あまり思えない。

それより直感的に生きてきた中でよく同感したものだ。

 

今回、所謂「ゲル探し」において、「同感」というものは大きな原動力として作用している。

僕は(モンゴルの貧困層を代表する)ゲルに住むことで、モンゴルにおける貧困層をより良く理解したいと思っている。

しかし端的にいうと、うまくいっていない。

------------------------------------------------------------------------------------------------------------------------------

E.

요코하마의 찬란한 밤도시 불빛 그림자에 가려진 불량청소년을 선도하는 사람

아프리카의 어느 구석진 마을 톤즈에서 봉사를 하는 사람

밀림에서 남의 조국을 위해 게릴라 활동을 하다 사살된 사람

민중을 위해 가족마저도 멀리하며 정치활동을 하는 사람

+

자기 자신이 이중인격자임을 인식하고, 철저하게 자기 자신을 알기 위해 몸부림 치는 사람

사랑을 위해 미친 듯이 살아가는 (아니 어쩌면 이미 미친) 사람

철저하게 소유하지 않는 사람

------------------------------------------------------------------------------------------------------------------------------

D.’(D의 미분, D를 무한정 추상화 시킴)

하지만 너무 어렵게 생각할 필요는 없는 것 같다.

표면의 것은 전체의 일부를 점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건  다름 없지만,

전체를 ‘크게’ 바꾸는 것은 내면에서의 변화가 아닌 이상 불가능하다.

 

온전한 것이 올 때에는 부분적으로 하던 것이 폐하리라.

-------------------------------------------------------------------------------------------------------------------------------

F.

(샤워를 못 해서, 안 해서?) 몸에서 냄새가 난다는 사실을 지금 알았다.

OJT @ 75th school

 

Before submitting the formal report to the head office in ulaanbaatar, I’d like to write here freely and informaly,

 

ABOUT OJT(O?? Job Training) in 75th school (75-р сургууль), with picture.


DSCN0695

It looks a kind of building usually veiwed in horror moive, but actually not so horroble :) It’s a clean building comparing with others in ulaanbaatar.

DSCN0708

Backside of the building. there are big natural icelink, so our children often play here.

I tried to enter but as soon as I got there I fall down and hit my leg on the ice. damn hurt.

 

DSCN0712 
Like this. they are playing there as not only icelink, but also WRESTLING GROUND

 

 DSCN0706
Buildings close to our school. there’re lots of artistic painting (sometimes proffesional one like upon).
You can see “사랑해요 2010-06-30”, it is korean language, means I LOVE YOU.

DSCN0721 
The district, Haan-ool, where our school belongs, has many many construction site.
Especially, lots of luxerious ones. It feels me like 80-90’s Kang-nam, Seoul.

 

 

 

Uuh, sorry, from now on, really starts OJT.

 

DSCN0692 This is the entrance. Nothing is special, but one thing, comparing with Korea and Japan, the entrance door is really small.
(may be to guard temperature of the building, from outside)

 

 DSCN0665

Inside, in front of teacher’s room

DSCN0668  

entering the inside, you can see the many boards introducing teachers.
It makes the parents of the students to feel something good, at least I think so.

DSCN0683 DSCN0680 DSCN0684 DSCN0688
on the wall, many many class materials there are. yes, the school has well-infra, as much as i thought.

(picture END)

 

-thinking time-

And then, What is problem? (Why the school manager  wants me?)

one thing I got (or think) is, UNVISUABLE THINGS wants support.

it can be teaching skills, school effeciancy system and so on, but this point more and more survey and thought needed.

----------------------------------------------------------------------------------------------------------------------

 

don’t you feel something strange?

you feel? wow, u clever.

 

Yes, today I did nothing!!! without looking.

There is no guideline about OJT, so ‘I’ usually try to make the people(school manager, teachers, co-workers) to do OJT for me. yes, usually I have to do OJT myself. I got it the end of the 1st day, haha.

On 2nd, 3rd, 4th(today) day, I’d done OJT usually myself, if I didn’t, there were lots of time(actually sometimes I used OJT times for my private matters)

 

the Official schedule from now on is only to stay the school CAPTIAN’s home this night. and Tomorrow, I’ll return to the KOV trainer’s dormitory.

 

p.s. I’d been stayed at homes of the mongolian staff, so next time I would like to write one-day at the time.

2010년 12월 1일 수요일

OJT, 그리고 HOME STAY

나의 근무지 몽골 울란바토르 소재 75번 학교.

75번 학교는 초+중+고=11년제로 된 소위 말하는 '러시아(소련?)식 교육시스템'을 가진 곳이다.

NUMBER OF STUDENTS: 1,300 students

TEACHERS: 65

STAFF: 23


수업은 대체적으로 오전8시에 시작하여 오후 6시까지 한다 + 주간반 야간반으로 나누어 수업을 한다


사진으로 많이 올려야 알기 쉬울 텐데.


12.1 오늘 처음으로 ojt를 한다. 학교에는 다행히 한국어를 잘 하시는 선생님 한 분이 계셔서 도움을 많이 받았다. 앞으로도 많이 받을 듯하다. co-worker가 이런 사람일까 싶다. 학교를 빙~ 둘러보는데 꼬꼬마 텔레토비들이 참 많다? 아주 귀여운 아이들이다? 역시 아이들은 우리들의 미래지? 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컴퓨터실에서 빢세게 게임을 하며 왁자지껄한 모습을 보니 내가 할 수업이 약간 걱정되었다?
+ 그렇다? 이 학교는 기본적인 인프라가 좀 되어 있는 것 같다? 체육관도 있고 기술실 가사실도 있다? 컴퓨터실에는 인터넷도 되고? 심지어 운영체제가 윈도우7이다



방과후, 5시즈음, 학교 매니저(우리나라로 치면 교감선생님이 적당할 듯함) 집에서 잤다

교감선생님은 내게 새로운 몽골 단어를 끊임없이 가르쳐 주셨다.

벽 바닥 천장 커튼 시계 엄지손가락 집게손가락 뻐큐손가락 네번째 손가락 새끼 손가락 왼팔 오른팔 다리 코 눈 귀 입 혀 침 ...................... 계속 렉쳐가 이어진다. 너무 좋지만 참 빡세다. 외우지 못 하면 가볍게 한 대씩 맞는다.

밤11시경, 드디어 잠자리를 편다. 그러나 끝나지 않는 그의 단어수업. 이불보 이불 배게 이불보 덮개...를 알려주신다. 아아... 외워야 되는데... 잘 안 외워진다. 그는 이제 자려는 내게 기습공격으로 아까 알려준 '커텐'이란 단어를 몽골어로 말해보라고 한다. 아...까묵었다. 또 맞는다.

드디어 잔다. 나는 '새흥 암라레~(안녕히 줌쉐요)'라고 한다. 그는 새흥 암라레 뿐만 아니라 또다른 인사 두개가 있다고 말해준다. 하악하악. 나는 꿈으로 도주한다.

(아니나 다를까 꿈에서는 2년 후의 내가 일본으로 돌아가는 꿈을 꾸었다)



밤은 추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