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2월 9일 수요일

가족이 한 달에 쓰는 비용에 대하여

 

  976 잡지 기사를 하나 번역했습니다. 아직 너무나도 부족하지만 이것으로 몽골 정보가 한글로 조금이나마 더 알려졌음 하는 바램과 함께 올립니다. (무단 번역으로 976 회사에서 삭제 요청이 오면… 지우겠습니다 ;; )

“가족이 한 달에 쓰는 비용에 대하여”
(976 003호 p37-8, гэр бүлийн төсөв(가족의 예산) 기사를 번역하였음)

976 잡지에선 몽골의 많은 가정의 수준으로 살고 있는 한 젊은 가정의 식구예산을 조사해 보았다. 그 집에는 세 아이들이 있다. 큰 아이는 12살이고, 둘째는 3살이며, 또한 3개월 전에 한 아이가 태어났다. 아내 남편 둘 다 33세이며, 남편은 예산조직에서 일하고 있다. 그러나 아내는 집에서 아이들을 보고 있다. 이 가족의 월 소득은 430,000투그릭이며, 아울러 가끔씩 하는 번역 일이 추가적인 소득으로 계상될 때도 있다.

급여로 사는 건 쉽지 않다. 식구예산을 내는 일이 국회로 나라 예산을 토론하는 정도의 일이 된다. 1 투그릭이라도 더 소비하면 안 된다 (하기야, 이렇게 살아 본 사람만 제일 좋은 재무 장관 이었겠지?). 돈을 아끼기 위해 음식, 살림 거리 사는 것을 신중히 걱정한다. 요새 추가적인 지출 할 여유가 없다고만 한다. 부모님이 많은 부동산을 소유하고, 자동차가 있어서 쉬고 있다는 사람은 문제가 상대적으로 적다.

월 급여로 매일 물건을 필요한 만큼 구입하고, 아이들이 아프다 보면 비용이 사라지게 된다고 한다. “약이 얼마나 비싼지 몰라요. 작년 겨울에는 어쩔 수 없이 민간요법으로 감기약을 만들어 봤어요. 박하, 레몬, 마늘 즙에 아이들의 감기를 진정시킨다고 하더라구요. 셋째 아이가 생기고부터는 기저귀 때문에 비용도 증가하게 되었어요.

젊은 가정은 대부분 돈을 아이들에게 사용하고 있다. 군것질용 초콜렛에 사탕은 종종 견딜 수 없다. 게다가 학용품, 책, 공책이라는 비용도 참 생각해보면 많다. “9월에는 정말 어려웠어요. 장난감은 말할 필요도 없었죠….” 다고 한다.

 

image 

※역자 주: 이 그래프에서 ‘식비’가 47% 되는 걸 주목해 주세요. 이는 엥겔지수와 관련이 있습니다.
http://www.voanews.com/korean/news/a-35-2010-01-26-voa32-91421349.html 를 참조 해 주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